부산 부동산 전망 알아보겠습니다 부산은 국내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고, 해운대, 센텀시티, 동래 등의 인기 있는 지역들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정부의 부동산 규제와 금리 인상,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부산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고 있습니다.
- 부산 아파트 가격 동향
- 부산 신축 아파트 공급량
- 부산 아파트 투자 전략
부산 아파트 가격 동향
부산 아파트 가격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대장 아파트라고 불리는 평당 단가가 높은 아파트들을 주목해야 합니다. 부산의 대장 아파트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것은 해운대구 가락국수 트럼프월드 센텀입니다. 18년차 되었고, 564세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최저 31층에서 최고 37층까지 이르며, 주차대수는 1,009대입니다
거래가격은 (34평 기준) 입주 이후 연평균 11% 상승하였고, 입주 이후 최대가격 하락률은 -2.2%입니다. 즉, 이 아파트는 부동산 시장의 상승과 하락을 잘 반영하는 대표적인 대장 아파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KB부동산에 따르면, 2023년 4월 기준으로 트럼프월드 센텀아파트의 평균 거래가격은 12억 9,000만 원입니다. 이는 2022년 12월 기준으로 14억 6,000만 원이었던 것에 비해 1억 7,000만 원이나 하락한 것입니다.
하락세는 부산의 다른 대장 아파트들에도 비슷하게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남구 용호동 더블유 아파트는 (34평 기준) 2022년 12월에 10억 9,000만 원이었던 평균 거래가격이 2023년 4월에는 9억 8,000만 원으로 하락하였습니다. 부산진구 범전동 부산시영 아파트는 (34평 기준) 2022년 12월에 8억 6,000만 원이었던 평균 거래가격이 2023년 4월에는 7억 8,000만 원으로 하락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부산의 대장 아파트들은 모두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부산 신축 아파트 공급량
부산시는 2023년까지 9만 5천호의 신규 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며, 그중 6만 7천 호가 아파트입니다.
부산시는 신규 주택 공급을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첫째, 국토교통부와 협력하여 부산 북부신도시(북항신도시)와 부산 동남신도시(기장신도시)의 조성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북항신도시는 총 4만 8천 호의 주택을 공급할 예정이며, 기장신도시는 총 2만 7천 호의 주택을 공급할 예정입니다. 둘째, 부산시 자체적으로 개발하는 부산 서남신도시(강서신도시)와 부산 서북신도시(덕천신도시)의 조성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강서신도시는 총 2만 3천 호의 주택을 공급할 예정이며, 덕천신도시는 총 1만 5천 호의 주택을 공급할 예정입니다. 셋째, 기존 도심지역의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활성화하고 있습니다. 부산시는 도심 재개발·재건축 사업에 대한 행정지원과 재정지원을 강화하고, 사업자 선정 절차를 간소화하고, 사업비 인하를 유도하는 등의 방법으로 도심 재생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신규 주택공급 확대 부산 아파트 부동산 시세 영향 |
1. 신규 주택 공급은 수요보다 여전히 부족합니다. 부산시는 2023년까지 연간 평균 3만 호의 신규 주택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공급될 신규 주택은 연간 평균 2만 호 정도입니다. 즉, 수요와 공급의 괴리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부산 아파트 시장의 공급 부족 상태를 유지시킬 것입니다. |
2. 신규 주택 공급은 주로 외곽지역에 집중됩니다. 부산시가 추진하는 신도시 사업은 대부분 부산시 외곽지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북항신도시는 북구와 사상구에, 기장신도시는 기장군에, 강서신도시는 강서구에, 덕천신도시는 북구에 조성될 예정입니다. 이러한 외곽지역의 신규 주택 공급은 도심지역의 기존 주택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입니다. 예로, 2023년 4월 기준으로 해운대구의 평균 아파트 거래가격은 7억 8,000만원이고, 강서구의 평균 아파트 거래가격은 2억 9,000만원입니다. 즉, 해운대구와 강서구의 평균 아파트 거래가격은 약 2.7배 차이가 납니다. 이러한 가격 격차는 도심지역의 수요자들이 외곽지역의 신규 주택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
부산 아파트 투자 전략
부산 아파트 시장은 가격 하락과 공급 증가로 인해 투자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부산 아파트 투자를 위해서는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할까요?
-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하세요. 부산 아파트 시장은 단기적으로는 가격 하락과 공급 증가로 인해 투자 수익률이 낮아질 것입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부산이 국내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고, 해운·관광·문화 등의 산업이 발달하고 있으며, 남북경협과 동북아 경제협력의 중심지로서의 역할이 커질 것이므로 주택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입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하고, 단기적인 시장 변동에 흔들리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 우수한 입지와 품질을 선택하세요. 부산 아파트 시장은 공급 증가로 인해 경쟁이 치열해질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우수한 입지와 품질을 가진 아파트가 가치를 유지하거나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부산에서는 해운대구나 수영구와 같은 해변가 지역이나 동래구나 연제구와 같은 도심가 지역이 우수한 입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예로, 부산 [부암 서희스타힐스]는 지역주택조합으로 성공한 사례로 소개되고 있습니다 이 단지는 부산 북부신도시에 위치하면서도 부산역과 가깝고, 주변에 학교와 병원 등의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대형 건설사인 서희건설이 시공하였으며, 롯데캐슬과 같은 브랜드 아파트의 품질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이 단지는 일반 분양에 들어가기 전에 이미 조합원들이 많은 이익을 얻었다고 합니다.
- 신규 분양에 주목하세요. 부산 아파트 시장은 기존 주택 가격이 하락하고 있지만, 신규 분양은 여전히 인기가 있습니다. 신규 분양은 청약 경쟁률이 높아서 당첨되기 어렵지만, 당첨되면 큰 수익을 낼 수 있는 기회입니다. 신규 분양을 위해서는 청약통장을 준비하고, 청약점수를 쌓아야 합니다. 그리고, 분양 정보를 잘 파악하고, 입지와 품질을 고려하여 분양 대상을 선정해야 합니다. 부산에서는 센텀시티나 해운대신도시와 같은 신도시 지역에 신규 분양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예로, 센텀시티에 위치한 '센텀 KCC스위첸'은 지난해 12월 첫 공급 때 청약 경쟁률이 100대 1을 넘겼으며, 올해 4월 두 번째 공급 때에도 청약 경쟁률이 50대 1을 넘겼습니다. 이 단지는 KCC건설과 GS건설이 공동으로 시공하였으며, 센텀시티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교통과 상업 등의 편의성이 뛰어납니다.
결론
부산 아파트 투자를 위해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하고, 우수한 입지와 품질을 선택하고, 신규 분양에 주목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산 아파트 시장은 단기적으로는 어려운 상황이지만, 장기적으로는 부산의 지역적인 역할과 장점이 반영될 것입니다. 부산 아파트 전망 잘확인하시고 신규 분양에 참여하고 싶으신 분들에게는 청약통장 준비와 청약점수 쌓기, 분양 정보 파악 등 잘 알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