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은 서울시에서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총 3만 4천 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 중에는 정비사업과 비정비사업의 차이가 있습니다. 정비사업은 재건축이나 재개발 등을 통해 기존의 주택을 새롭게 바꾸는 것이고, 비정비사업은 새로운 토지에 새로운 주택을 지어서 공급하는 것입니다.
두 가지 사업의 비율과 특징을 알아보면, 서울 아파트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2023 서울 입주예정 아파트 세대수
2023년 입주물량 중에서 서울 입주예정 아파트 세대수입니다.
구 | 단지명 | 세대수 | 평당가격 |
동대문구 | 청량리역롯데캐슬SKY-65 | 1,953 | 2.5억원 |
은평구 | DMC파인시티자이 | 1,223 | 2.2억원 |
은평구 | DMC SK VIEW 아이파크포레 | 1,464 | 2.4억원 |
용답동 | 청량리역한양수자인192 | 1,152 | 1.8억원 |
상계동 | 노원롯데캐슬시그니처 | 1,163 | 2.0억원 |
대치동 | 대치푸르지오써밋 | 489 | 4.0억원 |
정비사업 입주물량 감소 추세
정비사업의 입주물량은 2023년에는 1만 9천 가구로 전년도보다 4천 가구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비사업의 난항과 규제 강화 등의 영향으로 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정비사업은 주민들의 합의와 협력이 필요한 만큼,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프로젝트입니다. 정부에서는 정비사업의 과열을 막기 위해 공급규모와 분양가격 등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비사업의 입주물량은 앞으로도 감소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비정비사업 입주물량 증가 추세
반면에 비정비사업의 입주물량은 2023년에는 1만 5천 가구로 전년도보다 2천 가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신규 택지개발과 민간투자 등을 통해 새로운 공급원을 확보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보입니다. 비정비사업은 정비사업보다는 절차가 간단하고 속도가 빠른 만큼, 시장의 수요에 빠르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부에서는 비정비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임대주택과 공공주택 등을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비정비사업의 입주물량은 앞으로도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시장의 전망?
전문가들은 서울 아파트 시장은 공급부족과 수요과잉의 상황이 지속될 것이라고 예측합니다. 서울 아파트의 입주예정물량은 적정수요보다 부족한 상태이고, 서울 아파트에 대한 수요는 저금리 영향으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서울 아파트의 가격은 계속 상승할 것이라고 보입니다. 하지만 정부에서는 서울 아파트 시장의 안정을 위해 공급확대와 규제강화 등의 대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시장은 변동성이 높고 불확실성이 커질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2023년 서울 입주예정 아파트 가격 전망
2023년 서울 아파트 가격은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서울의 아파트 공급은 수요에 비해 부족하며, 부동산 정책의 효과도 제한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강남권과 강북권의 가격 격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5.6%로 전망됩니다. 구별로 보면, 강남권은 7.8%, 강북권은 4.2%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결론
2023년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정비사업과 비정비사업의 차이와 특징을 이해하고, 서울 아파트 시장의 전망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울 아파트를 구매하거나 임대하려는 분들은 이러한 정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빙에서는 서울 아파트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도움 되는 부동산 TIP
- 아파트 인테리어 7가지 주의사항 - 모르면 헛돈 씁니다
- 아파트 인테리어 비용 절감하는 방법 (자재비, 인건비) - 부동산 꿀팁
- 부동산중개수수료란? 2023년 최신 요율표와 계산 방법
- 2023년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이 세입자에게 주는 영향